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을 읽고나서 나서(4)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8 12:52
본문
Download :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을 읽고나서(4).hwp
어울리지 않는 듯한, ´감옥´과 ´사색´이란 두 단어 때문일까 아니면 ´사색´이라는 약간은 고풍스럽고 멋이 있어 보이는 단어 때문일까 나는 호기심을 가진 채 이 책을 보게 되었다. 나는 그의 글을 보고 감탄했다. 그의 그런 풍부한 사고력…(To be continued )
감옥으로부터,사색,읽고나서,감상서평,레포트
순서
레포트/감상서평
Download :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을 읽고나서(4).hwp( 77 )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을 읽고나서(4) ,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을 읽고나서(4)감상서평레포트 , 감옥으로부터 사색 읽고나서
설명
_hwp_01.gif)
_hwp_02.gif)
다.
그가 감옥에 있어서일지는 모르겠으나, 그는 사물을 깊은 시각으로 들여다보고, 그 물건에 담겨 있는 의미를 곰곰이 생각해보는 것 같았다. 나도 이제껏 펜과 붓을 써 왔지만, 실용적이고 편리한 펜이 서양의 실용주의가 내포되어 있다는 사실도, 붓 끝의 감촉이, 부드러운 묵향이, 묵을 가는 정적이 동양의 정신을 담은 것이라고 생각하지 못했다.
이 책은 통혁당 사건 때문에 무기형을 선고받아 감옥에 20년간이나 있었던 신영복 교수가 감옥으로부터 보내온 편지들의 모음이었다.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을 읽고나서 나서(4)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을 읽고나서 나서(4)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을 읽은후나서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이 책의 タイトル(제목) 을 듣고서 나는 저절로 ´어떤 내용일까´ 하는 의문이 떠올랐다. 그의 글은 한결같이, 따뜻한 마음을 내게 전해 주는 것들이었고, 점점 기계화되어 가고 있는 이 삭막한 사회에서 잊혀져간 우리 고유의 정신들을 일깨워 주는 것들이었다. 이 두 종소리는 바로, 외래 문물과 우리의 문물이 공존하고 있는 나의 의식 속에 들려오는 두 개의 종소리가 아닐까하는 생각이 든다.
그가 대전의 감옥에 있었을 때 쓴 글 중 ´두 개의 종소리´라는 글을 보면, 외래 문물을 상징한다고 할 수 있는 교회의 종소리와 우리 것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는 범종의 소리를 비교하고 있따 그는 교회종은 높고 연속적인 금속성이고 새벽의 정적을 깨는 틈입자라고 했고, 범종은 나직막한 음성같으며, 적막을 심화시킨다고 했다. 마치 흘러가는 물 속에 꿋꿋이 버티고 있는 바위처럼, 그의 생각은 주체성이 있었고, 그것은 그의 글에서 여실히 드러나고 있었다. 그는 펜은 실용과 편의라는 서양적 사고의 산물이라고 했고, 붓은 동양의 정신을 담은 것이라고 했다. 그런 것이 엿보이는 몇몇 글 중에 내 마음에 와 닿았던 것은 펜과 붓에 관한 글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