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중 도깨비 설화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7 15:58
본문
Download : 한 중 도깨비 설화 연구.hwp
망량은 일명 ‘두억시니’라고도 한다. 이기문은 ‘돗귀’가 ‘도최’로 바뀌었다고 하였고, 서정범은 ‘돗’과 ‘아비’가 결합하여 ‘돗가비’가 되었으며 ‘돗’은 ‘도섭’(환영, 요술)의 원형으로 ‘수선스럽고 능청맞게 변덕부리는 아비’의 뜻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귀신은 사람의 혼백을 뜻하는 말로, 음귀를 귀라 하고, 양신을 신이라 한다. 정괴는 조화를 부릴 수 있는 정령을 일컫는 말로 비슷한 말이 요괴·망량이다. 요괴는 동물이 오래되어 조화 부릴 능력을 갖게 된 요물을 일컫는 다. 박은용은 ‘돗구’에 ‘아비’가 결합된 형태라고 보고 이것이 음운이 변하여 ‘도깨비’로 되었다고 주장하고 ‘돗구’는 절구를 뜻하는 말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고대 한국에서는 유학적 귀와 신의 槪念이 일반화되지 않아서 귀, (역)신을 도깨비와 같은 의미로 사용하였다.
설명
한 중 도깨비 설화 연구
한[1].중도깨비설화연구
레포트/생활전문






순서
Download : 한 중 도깨비 설화 연구.hwp( 86 )
우리 나라와 중국의 도깨비의 어원과 표기, 도깨비의 유래, 한·중 도깨비의 특징 등을 비교하여 도깨비에 대한 한국과 중국 두 나라 민중의 의식이 어떠한가를 규명하고, 아울러 설화의 근간을 이루는 서사구조와 구조분석을 통하여 그 친연성을 살펴봤습니다.한[1].중도깨비설화연구 , 한 중 도깨비 설화 연구생활전문레포트 ,
,생활전문,레포트
다. 망량은 식물이나 비·쓰레받기와 같은 오래된 생활용품에 정령이 붙어서 조화를 부릴 수 있는 도깨비가 된 것이다.
2.1. 도깨비의 어원과 표기
도깨비의 어원에 대한 학설은 다양하게 제기되었다. 초기 도깨비의 특징을 어원과 표기, origin, 한·중 도깨비 외모의 특징을 비교하는 작업으로 찾아 도깨비에 대한 두 나라 민중의 의식을 밝히고자 한다. 박상규는 ‘돗가비’가 ‘도비’로 바뀌고, 이것이 다시 ‘도까비’로 되었다가 나중에 ‘도깨비’가 되었는데 여기서 돗은 화 또는 풍요를 나타내는 종자, 한문에서 ‘모두’ ‘우두머리’라는 뜻으로 이해되는 ‘도’일 수 있다고 하였다. 흔히 둔갑을 하는 여우는 여기에 속하므로 도깨비와는 의미가 다르다. 그밖에도 각 지방에서는 여러가지 용어로 호칭하고 있는데 경북 월성 지방의 ‘토째비’, 경남 거창 지방의 ‘돛재비’, 제주도와 전남 신안 지방…(To be continued )
우리 나라와 중국의 도깨비의 어원과 표기, 도깨비의 유래(由來), 한·중 도깨비의 특징 등을 비교하여 도깨비에 대한 한국과 중국 두 나라 민중의 의식이 어떠한가를 규명하고, 아울러 설화의 근간을 이루는 서사구조와 구조분석을 통하여 그 친연성을 살펴봤습니다. 1. 스타트하며
2. 도깨비의 origin
2.1. 도깨비의 어원과 표기
2.2. 도깨비의 origin
2.3. 도깨비의 특징
2.4. 도깨비가 있는 곳
2.5. 성격
3. 도깨비 설화의 서사구조
3.1. ‘도깨비 소동’ 유형 설화의 비교
3.2. ‘도깨비와 겨루기’ 유형 설화의 비교
3.3. ‘도깨비 때문에 잃은 물건 찾기’ 유형 설화의 비교
3.4. ‘크게 될 사람을 알아본 도깨비’ 유형 설화의 비교
3.8. ‘도깨비와 사귀어 덕보기’ 유형 설화의 비교
4. 구조 analysis(분석) 과 의미
4.1. ‘도깨비 소동’ 유형 설화
4.2. ‘도깨비와 겨루기’ 유형 설화
4.3. ‘도깨비 때문에 잃은 물건 찾기’ 유형 설화
4.4. ‘크게 될 사람을 알아본 도깨비’ 유형 설화
4.5. ‘도깨비와 사귀어 덕보기’ 유형 설화
5. 마무리
도깨비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 용어는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따 귀매는 성질이 사납고 거친 잡귀신으로, 형체가 없고 행동거지가 망량과 비슷하다.
2. 도깨비의 origin
도깨비는 한국과 china의 이른 시기부터 회자되던 이야기 소재였다.